본문 바로가기
  • 디지털로 연민하고 연대합니다
전시,공연

서울공예박물관 '공예 시간과 경계를 넘다' 전

by 루- 2022. 6. 15.
반응형


종로구 안국동에 세워진 서울 공예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상설전도 있고 기획전도 있어서 근처를 지날 때 미리 시간을 조금 내면 편하게 좋은 전시를 볼 수 있습니다.


전시 1,2,3동은 서로 연결되어있어요.


오늘 볼 전시는 이것.


칠공예와 나전, 금속공예, 그리고 염색과 자수까지의 작품들을 전시하고 있었습니다.





서울 공예박물관 개관 특별전 <공예, 시간과 경계를 넘다>는 현대성을 추구하는 공예 교육이 실시된 이래, 전개되고 있는 한국 현대공예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도자, 목*, 유리 공예를 중심으로 한 지난 1부 전시에 이어 금속, 섬유, 옻칠 분야 공예가들의 작품을 통해 시간과 경계를 넘나드는 우리 공예의 현주소를 만나보시기 바란다.


윤상희 '뚱뚱한 그녀는 죽음의 다이어트중이다' 옻칠, 자게,삼베,ABS,황동,금도금




박성열 작 '본연'

박성열은 전통 옻칠에서 나아가 옻칠의 물성을 연구하면서 독창적 기법을 개발한 칠예가이다. 기존 전통 옻칠 기법에서 형태의 뼈대(胎)를 이루던 나무·금속·천 같은 재료를 배제하고, 옻칠 자체만으로 이루어진 기물을 제작하고 있다.
거미줄처럼 가느다란 옻칠선이 중첩해 작품의 몸체를 구성하는데, 이 옻칠선은 한 점에서 시작되어 물리적인 힘으로 늘어난 것이다. 그래서 대개 발(鉢) 형태인 작품에는 특유의 탄성과 유연함이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옻칠선으로 만들어진 기물에 금박을 씌운 작품을 포함한 최신작을 소개한다.

박성열 본연 옻칠,안료,금도금

 

주성호 은, 황동,금도금
이재익 돌,금박,포슬린안료





오색광율 2015
정해조
옻칠, 삼베


70×70×70

정해조는 일본 유학을 통해 본격적으로 옻칠공예에
입문한 이래 50년 이상 작업을 이어오며 한국 현대
옻칠공예의 지평을 넓힌 칠예가이자 교육자이다.
한국의 전통미를 간직하되 현대적 감각으로 기능과
예술성이 조화를 이루는 작품을 발표해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표면 장식을 배제하고 협저탈태(건칠)
기법으로 작품을 제작하는데, 인간의 본질적인
아름다움을 표방한 유연한 곡선 형태에 한국 고유의
오방색을 입히는 것이 작품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이번 전시작은 대표작인 <오색> 중 최대 크기로,
감상 각도에 따라 빛의 굴절, 율동감, 광택의 변화와
함께 다섯 가지 빛깔 옻칠의 매력을 느낄 수 있다.

오색광율 2015

 

오왕택 사계 혼수함 옻칠, 나전,줄음질



칠화 거북무늬 건칠 구절반
양유전

옻칠, 삼베, 쌀가루, 숯가루, 토분, 안료
2011
37×53×53
양유전은 1967년 옻칠에 입문한 이래 50년 이상 전통 옻칠을 계승하고 있는 칠화칠기(漆器) 명장이다. 국가무형문화재 나전장 김봉룡을 사사하였다.
칠화는 칠기 위에 붓으로 그림을 그리는 기법으로 점도가 높은 칠로 마치 수를 놓듯 그려야 하므로 높은 숙련도와 긴 작업 시간을 요한다. 그는 옷의 질료적
특성과 칠 작업 전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거북, 학, 십장생 같은 전통 문양부터 별자리, 반구대암각화 등을 그리며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였다. 전시작은
목기에 삼베를 발라 칠하고 금박을 입히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해 제작한 촛대와 안팎 가득히 거북문, 별자리를 그려 넣은 구절반이다.

칠화 거북무늬 건칠구절반




일상을 위한 격 Graceful Life
칠은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매체이다. 불과 얼마 전까지 집집마다 나전칠기나 자개장롱 하나 두지 않은 집이 없을 정도로 옻칠공예는 우리 생활 깊숙이 자리
하였다. 예로부터 옻은 목기나 도기 같은 생활용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가장 마지막에 도료로 사용되어 기물의 내구성과 장식 효과를 높이는 데 사용되었다.

현대 옻칠공예가들은 가구, 식기 이외에도 귀한 물건을 담는 보석함과 혼수함, 의례용 촛대, 잔칫날 사용하는 구절판, 와인잔 등 일상을 특별하게 만드는 생활
용품을 제작하고 있다.

김선갑 '참새와 대나무 통영반' 자개,옻칠,목재,줄음질
정복상 '고향'
정용주 '허와 실'
정용주 '허와 실 ' 자작합판, 자연목,나전,옻칠, 목심칠기



조형과 회화로서의 옻칠

목공예가들을 중심으로 시작된 칠에 대한 새로운 조형 실험은 도자, 금속, 섬유 등의 분야로 확산되었다.
이들은 칠의 고유한 광택은 물론 칠하는 과정에서 나전 등을 붙이며 장식하는 기법을 응용해 조형과 회화
작품으로 거듭날 가능성을 실험한다. 전통 옻칠에 난각, 색편, 침금 등과 같은 장식재료 및 기법을 더한
완상용 기물 제작은 물론 회화의 재료로 칠을 적극 활용하며 '옻칠회화'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하였다.
1990년 대학에서 목칠공예를 전공한 작가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칠예가회가 창립되었다. 이들은 칠
장인과 합심하여 우리 전통 칠의 올바른 계승을 고민하는 동시에 옻칠 설치예술, 옻칠회화 등 칠의 조형
실험을 거듭하며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최영근 '태초의 바람' 옻칠, 자개



칠하다 Lacquer

옻칠은 경화가 되면 방충·방습 방부 기능과 내열성이 강해질 뿐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여 예로부터 나무, 도자, 금속, 종이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적용되어왔다.

광복 이후 현대 칠공예는 나전칠기의 오랜 전통을 바탕으로 고급가구, 생활용품 등의 의장 기술로 폭넓은 수요 기반을 확보하며 다른 공예에 비해서 힘차게 출발
하였다. 최초의 현대적 칠공예 교육기관은 1951년 통영에 설립된 경상남도 나전칠기 기술원 강습소이다. 이곳에서 교육과정을 전수하거나 이수한 공예가들은 장인의 길을 걷는가 하면, 대학 내 교육자로 자리 잡아 한국 현대 칠공예 교육을 제도적으로 안착시키고, 창작 활동의 근간을 마련하였다.





'나전고기물문장통
김태희


1962
200x302x70
자개 옻칠, 나무, 졸음질, 상감, 조각

김태희는 현대옻칠공예의 확립과 성장에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1992년 국가무형문화재 나전장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김기주를 통해 나전칠기 도안나전부착법·옻칠칠정제법 등을 전수받으며 기술을 연마하였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 출품하며 초대작가심사위원으로 활동하여 현대 나전칠기 창작을
선도하였다. 이번 전시출품작은 금관, 석탑과 같은 옛 기물 문양(고기물문)을 현대적으로 도안화해 장식한
자개장통이다.

 

이승원 '찻주전자' 은




부드러운 조각
1970년대 말 직조의 성행과 해외 유학을 마친 젊은 공예가들의 유입은 1980년대 섬유공예의 작업 방식과 내용에 변화를 주었다. 이른바 '염직공예'라 불리며 평면성을 기반으로 작업하던 섬유공예가들은 벽면을 벗어나 입체적인 작업을 시도한다.

1980년대 섬유공예는 순수 조형 운동으로서의 위상을 높이며 공예와 순수미술 사이를 오간다. 이 시기 섬유공예가는 바스켓트리와 같은 오브제에서 섬유 조각, 파격적인 미술의상, 환경설치 작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섬유조형 작품을 제작한다.

그들은 섬유뿐 아니라 가죽, 종이와 같은 자연 소재에서 아크릴과 같은 인공 재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재료를 폭넓게 수용했다.

오화진 '능력자' 울혼방직물,솜,플라스틱의자등
김영자' 산으로부터 오는 노래' 양모
송번수 '빛이 있으라 하실때 빛이 있었고' 모사, 평직




스며든 빛깔
1954년 유강열이 제3회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면서 주목받기 시작한 염색공예는 1960~70년대에 염색 미술로 불리며 활발한 활동을 이어간다. 이는 광복 이후 대학 내 공예교육이 자리 잡으며 그 안에서 염색과 직조 등 섬유 관련 교육이 이루어진 결과이다. 당시 수많은 염색 관련 동문전과 개인전은 다양한 염색기법을 소개하는 통로였고, 초창기 납방염 중심의 염색공예가 호염, 묘염, 분무염 등으로 기법의 다원화를 이루는 데 일조했다. 평면 작업이 주를 이루던 현대 염색 공예는 1980년대 ‘섬유조형’의 영향으로 입체 작업으로도 영역을 확장하였다.

유철연 '비온날의 오후' 염색
유강열 '꽃과 나비' 천에 염색
배만실 '가을 밤' 직조
박을복 '표정' 비단에 자수



한 땀의 바느질

생활용품에 깊이 자리해 장식의 기능을 하던 자수는 1932년 조선 미술전람회에 공예부가 신설되면서 전시장에서 감상하는 작품으로도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광복 이후에는 수출품으로 자수가 주목을 받고 전통자수의 복원을 모색하는 흐름의 한편에서, 현대 자수는 일상의 물건을 넘어 감상을 전제로 하는 미술공예를 지향했다. 그러나 광복이라는 사회 변화와 함께 전통문양이나 향토적인 소재를 선호했으며,
일제강점기의 사실주의적 양식에서 벗어나 이미지를 변형하고 해체하는 시도가 주를 이루었다. 현대 자수가는 대상을 추상화하거나 실의 물성 등을 이용한 표현주의적인 수를 놓으며 현대화를 이끌었다.

엄정윤 '들꽃' 자수


서울공예박물관에서는 이외에도 보자기전, 자수전들 다양한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입장료는 무료이며 매주 월요일 휴무입니다.


서울공예박물관
서울 종로구 율곡로 3길 4

 

네이버 지도

서울공예박물관

map.naver.com

 


#서울공예박물관 #안국동공예박물관 #서울가볼만한곳

반응형

댓글